자영업자 입장에서 알바생 퇴직금 지급은 헷갈릴 수 있지만,
기준은 명확히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아래에 퇴직금 지급 조건과 계산 방법, 주의할 점까지 자영업자 중심으로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1. 알바생도 퇴직금을 받아야 하나요?
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면 정규직, 아르바이트, 단기직 관계없이 퇴직금 지급 대상입니다. 단,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할 때만 지급 의무가 생깁니다.
📌 2. 퇴직금 지급 조건 (3가지 모두 충족해야 함)
조건설명
① 1년 이상 근속 | 알바생이 1년 이상 계속 근무해야 합니다. |
② 주 15시간 이상 근무 | 근무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합니다. |
③ 계속근로 | 중간에 계약 끊기지 않고 계속 근무했을 경우 |
예시)
- 주 3일 x 하루 5시간 = 주 15시간 → O
- 11개월만 근무 → ✖ 퇴직금 없음
- 주 10시간 근무하며 1년 일함 → ✖ 퇴직금 없음
🧮 3. 퇴직금 계산 방법
[1일 평균임금 × 30일] = 퇴직금
- 평균임금은 최근 3개월 동안 받은 총 임금 ÷ 총 일수
- 시급 알바생이라면 아래처럼 계산:
예) 시급 9,860원, 하루 5시간, 주 5일 근무 (1년 근무) => 월 평균임금 약 986,000원 => 퇴직금: 약 986,000원 정도
👉 퇴직금 자동 계산기
고용노동부 퇴직금 계산기:
https://www.moel.go.kr/retirementpay/
📅 4. 언제까지 줘야 하나요?
-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함
- 지연 지급 시 연 20% 이자가 부과될 수 있음
📄 5. 지급 시 유의사항
- 반드시 지급 내역을 문서(영수증 등) 로 남겨두세요
- 퇴직금 포함 조건으로 계약했어도, 법정 퇴직금보다 적게 주면 불법입니다
- 퇴직 전 ‘퇴직금 포기각서’ 받더라도 효력 없습니다 (법 위반)
❌ 6. 이런 경우 퇴직금 안 줘도 됨
상황설명
근무기간 1년 미만 | 퇴직금 지급 안 해도 됨 |
주 15시간 미만 근무 | 예: 주말 2일, 하루 4시간 근무 등 |
중간에 계약 종료 후 재고용 | 중간에 끊기면 ‘계속근로’ 아님 |
📌 7. 자영업자 꿀팁
- 계약서에 근로시간/근무기간 명확히 기재
- 출퇴근기록 (POS, 근태 앱 등) 확보
- 퇴직금은 통장 이체로 증빙 남기기
🎯 요약
알바라도 "1년 이상, 주 15시간 이상, 계속 근무"했으면 퇴직금 무조건 줘야 합니다.
계산은 '1일 평균임금 × 30', 지급은 퇴직일로부터 14일 내 완료!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도 받을 수 있는 고용유지지원금, 조건과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5.04.30 |
---|---|
자영업자를 위한 근로계약서 양식 작성법, 한눈에 정리! (1) | 2025.04.30 |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알바생 근로계약서 작성법 (0) | 2025.04.30 |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알바사이트 추천 총정리 (0) | 2025.04.30 |
2025년 기준 자영업자(사업자) 카드 환급 혜택 정리 (1) | 2025.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