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G 시스템 이해 및 활용 가이드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4. 17.

PG(Payment Gateway) 시스템에 대한 개념부터 작동 방식,

주요 업체, 그리고 가맹점 운영자가 알아야 할 실무 정보까지 정리한 완전 가이드입니다.


💡 PG 시스템이란?

**PG(Payment Gateway)**는 ‘결제대행사’ 또는 ‘결제 게이트웨이’로,
온라인/오프라인에서 카드나 간편결제 등의 결제 기능을 중개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쉽게 말해, 고객의 결제 요청을 받아 카드사·은행·가맹점 간 안전하게 연결해주는 중간 플랫폼입니다.


⚙️ PG 시스템의 기본 구조

[고객] → [PG 시스템] → [카드사/은행] → [가맹점]
  1. 고객이 온라인 쇼핑몰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를 요청
  2. PG가 카드정보 암호화 후 카드사·은행으로 전송
  3. 결제 승인 결과를 다시 PG가 받아 고객과 가맹점에 전달
  4. 정산 주기별로 가맹점 계좌로 입금 처리

🧾 PG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이유설명
보안 카드정보 암호화 및 인증 대행 (3D Secure 등)
편리함 여러 카드사·결제수단을 한번에 연동 가능
정산 시스템 승인 내역, 매출 조회, 입금 관리 등 통합
결제 수단 다양화 신용카드, 간편결제, 휴대폰결제, 계좌이체 등 제공

🔑 주요 PG사 (국내 기준)

PG사명주요 특징
KG이니시스 대기업, 공공기관도 많이 사용
KCP 저렴한 수수료, 중소사업자 선호
NHN KCP 다양한 간편결제 지원
토스페이먼츠 간편결제 연동에 강점
다날 휴대폰 소액결제 특화
카카오페이 자체 간편결제 및 쇼핑 연계

📦 PG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업자

  • 온라인 쇼핑몰
  • 무인 키오스크/포스기 결제
  • 모바일 앱 결제
  • 구독 서비스 및 정기 결제
  • 전자세금계산서 및 B2B 정산

📌 PG 계약 시 체크포인트

  1. 수수료율: 결제수단별로 상이 (보통 2.5~3% 내외)
  2. 정산주기: T+1, T+3, 주 1회 등 선택 가능
  3. 결제수단: 카드 외에도 간편결제, 휴대폰결제 포함 여부 확인
  4. 보안 인증: KISA 보안인증 및 PCI DSS 인증 필수
  5. 초기비용: PG 연동비, 보증보험료 여부 확인

🛠️ PG 연동 예시 (웹사이트)

  • PG사에서 API/SDK 제공
  • 웹사이트 관리자나 개발자가 PG API를 통해 결제 버튼, 인증창, 결제 성공 처리 등 구현
  • 테스트 환경에서 결제 테스트 → 실 운영 전환

🔍 PG vs VAN의 차이점

구분PG사VAN사
대상 온라인 결제 위주 오프라인 카드 단말기
기능 암호화, 인증, 결제중개 승인처리 및 통신 중계
예시 이니시스, KCP, 페이코 스마트로, KIS, NICE

궁금하신 PG 계약 비교표, 정산 캘린더, 혹은 정산 오류 대응 매뉴얼도 정리해드릴 수 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