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가 절차란 무엇인지, 업종별로 어떤 허가가 필요한지, 진행 순서와 꿀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인허가 절차란?
음식점, 카페, 무인매장, 주점 등 영업을 하려면 법적으로 필요한 허가/신고 절차가 있어요.
이건 단순히 “사업자 등록”과는 다른 거고,
보건소/관할 구청/경찰서/소방서 등 여러 기관이 연관되어 있어요.
🧾 기본 인허가 절차 순서 (음식업 기준)
① 점포 임대 계약
- 허가를 받으려면 주소가 확정되어야 함
→ 계약 전에 인허가 가능 지역인지 미리 확인하세요!
(※ 주거지 건물은 허가 불가한 경우 있음)
② 위생교육 수료
- 식품위생교육센터에서 온라인 가능
- 보통 3
4시간 소요 / 12만원 내외
🔗 https://www.kfda.or.kr
③ 영업신고 / 허가 신청
-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등
- 관할 보건소에 서류 제출 (임대차계약서, 도면, 신분증 등)
업종구분예시
일반음식점 | 조리 + 매장 내 취식 가능 | 고깃집, 술집, 밥집 등 |
휴게음식점 | 단순 취식 / 짧은 체류 | 카페, 디저트샵 등 |
즉석판매제조 | 소분 및 판매 | 떡볶이, 닭강정 포장전문 |
📌 주의: 술 판매하려면 '주류판매신고'도 별도 제출
④ 소방 및 시설 점검
- 66㎡ 이상일 경우 소방시설 완비 신고 필수
- 소규모 매장은 간단한 간이소방 설비만 설치해도 가능
⑤ 사업자등록
- 국세청 홈택스 또는 세무서 방문
- 사업자유형: 개인사업자 또는 간이과세자/일반과세자 선택
🔗 https://www.hometax.go.kr
⑥ 기타 신고/허가 (업종별 차이)
업종추가 인허가 필요
술집(주점) | 청소년 출입 제한, 심야 영업 시 신고 |
노래방/유흥업 | 관할 경찰서 허가 + 방음시설 등 |
무인매장 | 출입통제시스템, CCTV 설치 기준 등 |
배달전문점 | 위생관리기준 + 포장 용기 기준 준수 |
✅ 인허가 꿀팁
- 계약 전에 반드시 관할 보건소·구청에 상담 받아보기 (전화 또는 방문)
- 도면에 조리대, 화장실, 세면대 위치 잘 표시해야 반려 안 됨
- 보건소 담당자와 친해지면 허가 진행 시 큰 도움 됨
- 위생교육 → 영업신고 → 사업자등록 순서대로 진행하는 게 안정적
🛠 도움되는 사이트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사업자 기장비용, 얼마일까? 실전 요금표 정리 (1) | 2025.04.23 |
---|---|
개인사업자 vs 법인사업자, 창업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차이점 (0) | 2025.04.23 |
창업 전 상권분석, 이렇게 하면 실패 확률 0% (0) | 2025.04.23 |
창업컨설팅, 받을까 말까?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총정리 (0) | 2025.04.23 |
창업교육? 돈 안 들이고 이렇게만 들으세요 (0)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