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사업자 기장비용, 얼마일까? 실전 요금표 정리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4. 23.

 


기장비용의 개념부터, 비용 범위, 어떤 사업자에게 필요한지, 절세 효과까지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 개인사업자 기장이란?

기장 = 장부 작성 + 세무신고 대행

개인사업자는 수입과 지출에 대한 장부를 작성하고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데,
전문 지식이 없다면 세무사에게 기장을 맡기고 신고까지 위임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 개인사업자 기장비용은 얼마?

📌 월 기장료 기준 (2024~2025 평균)

업종/규모월 기장료연간 총액 (12개월 기준)
소규모 업종 (매출 5천만 원 미만) 5만~10만 원 약 60만~120만 원
일반 매출형 자영업자 (매출 1억 전후) 10만~15만 원 약 120만~180만 원
매출 2억 이상 or 복식부기의무자 15만~25만 원 200만 원 이상 가능

※ 업종, 거래 건수, 현금거래 비중, 부가세 신고 복잡도 등에 따라 달라짐


✅ 기장비용 외 별도로 드는 세무비용

항목비용 범위설명
부가세 신고 (12월, 78월) 10만~20만 원/회 매출규모, 세금계산서 발행건수에 따라 달라짐
종합소득세 신고 (5월) 20만~50만 원/회 기장료와 별도로 받는 경우 있음

🔸 팁: 기장 맡기면 부가세/소득세 신고는 무료 포함인 경우도 많아요! 반드시 사전 확인 필요.


❗ 기장을 꼭 맡겨야 하는 사람은?

조건설명
매출 7,500만 원 이상 복식부기 의무자 → 기장신고 필수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세금계산서 등 복잡한 신고 많음
직원을 고용한 경우 4대 보험, 원천세, 급여 신고 등 추가 업무 발생
현금 거래 많은 업종 세무 리스크 크므로 전문가 관리 필요

📉 기장 맡기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 장점

  • 세무신고 정확하게 처리 → 과태료/세금 추징 위험 ↓
  • 세금 환급 가능성 ↑ (필요 경비 처리 가능)
  • 증빙자료 보관, 세무조사 대응 등도 가능
  • 대출/보증 등에서 신용도 향상 (장부 있는 사업자 선호)

🛠 기장 맡길 때 팁

  1. 세무사 사무실 상담 시, 꼭 견적 비교해보기
  2. 기장료 안에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확인 (부가세, 소득세 포함 여부 등)
  3. 온라인 세무대행 서비스 (삼쩜삼, 세모장부, 자비스 등)도 비교하면 좋아요
  4. 매출이 크지 않으면 기장 안 맡고 간편장부도 가능

🔚 마무리 정리

기장비용은 세금 아끼는 투자비용!
제대로 된 기장 = 절세 + 세무 걱정 없음 + 신용도 향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