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비용의 개념부터, 비용 범위, 어떤 사업자에게 필요한지, 절세 효과까지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 개인사업자 기장이란?
기장 = 장부 작성 + 세무신고 대행
개인사업자는 수입과 지출에 대한 장부를 작성하고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데,
전문 지식이 없다면 세무사에게 기장을 맡기고 신고까지 위임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 개인사업자 기장비용은 얼마?
📌 월 기장료 기준 (2024~2025 평균)
업종/규모월 기장료연간 총액 (12개월 기준)
소규모 업종 (매출 5천만 원 미만) | 5만~10만 원 | 약 60만~120만 원 |
일반 매출형 자영업자 (매출 1억 전후) | 10만~15만 원 | 약 120만~180만 원 |
매출 2억 이상 or 복식부기의무자 | 15만~25만 원 | 200만 원 이상 가능 |
※ 업종, 거래 건수, 현금거래 비중, 부가세 신고 복잡도 등에 따라 달라짐
✅ 기장비용 외 별도로 드는 세무비용
항목비용 범위설명
부가세 신고 (1 |
10만~20만 원/회 | 매출규모, 세금계산서 발행건수에 따라 달라짐 |
종합소득세 신고 (5월) | 20만~50만 원/회 | 기장료와 별도로 받는 경우 있음 |
🔸 팁: 기장 맡기면 부가세/소득세 신고는 무료 포함인 경우도 많아요! 반드시 사전 확인 필요.
❗ 기장을 꼭 맡겨야 하는 사람은?
조건설명
매출 7,500만 원 이상 | 복식부기 의무자 → 기장신고 필수 |
부가가치세 일반과세자 | 세금계산서 등 복잡한 신고 많음 |
직원을 고용한 경우 | 4대 보험, 원천세, 급여 신고 등 추가 업무 발생 |
현금 거래 많은 업종 | 세무 리스크 크므로 전문가 관리 필요 |
📉 기장 맡기면 어떤 점이 좋은가요?
✔️ 장점
- 세무신고 정확하게 처리 → 과태료/세금 추징 위험 ↓
- 세금 환급 가능성 ↑ (필요 경비 처리 가능)
- 증빙자료 보관, 세무조사 대응 등도 가능
- 대출/보증 등에서 신용도 향상 (장부 있는 사업자 선호)
🛠 기장 맡길 때 팁
- 세무사 사무실 상담 시, 꼭 견적 비교해보기
- 기장료 안에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확인 (부가세, 소득세 포함 여부 등)
- 온라인 세무대행 서비스 (삼쩜삼, 세모장부, 자비스 등)도 비교하면 좋아요
- 매출이 크지 않으면 기장 안 맡고 간편장부도 가능
🔚 마무리 정리
기장비용은 세금 아끼는 투자비용!
제대로 된 기장 = 절세 + 세무 걱정 없음 + 신용도 향상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장 간판 어디서 해야 할까? 간판 제작 꿀팁 총정리 (0) | 2025.04.23 |
---|---|
자영업자 첫 달, 얼마 필요할까? 현실 비용 정리 (0) | 2025.04.23 |
개인사업자 vs 법인사업자, 창업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차이점 (0) | 2025.04.23 |
창업 전 꼭 알아야 할 인허가 절차, 이 글 하나로 끝내세요 (2) | 2025.04.23 |
창업 전 상권분석, 이렇게 하면 실패 확률 0% (0)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