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비창업자를 위한 정부지원 혜택 총정리 (2025년 최신판)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5. 14.

 

창업할 때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 혜택은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예비 창업자 또는 초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한 자금 지원, 교육, 컨설팅, 세금 혜택,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제도가 마련돼 있어,

제대로 활용하면 리스크를 크게 줄이고 안정적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2025년 기준 창업 시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 혜택을 항목별로 정리해 드릴게요.


✅ 1. 창업자금 지원 (대출)

정부에서 예비창업자에게 저금리, 무담보 조건으로 창업자금을 빌려주는 대표적인 제도입니다.

① 소상공인 정책자금 (중소벤처기업부/소진공)

  • 대상: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1년 이내 소상공인
  • 금리: 연 2~3% 수준 (변동 가능)
  • 상환: 5년 이내 (거치기간 1~2년 포함)
  • 신청처: 소상공인 정책자금 홈페이지

② 창업초기자금 (신용보증재단 + 지역신보 연계)

  • 신용이 부족한 사람도 보증기관을 통해 대출 가능
  • 사업계획서 필수 제출

✅ 2. 창업 지원 사업 (정부 보조금)

국가에서 **사업 운영비 일부를 ‘무상 지원’**해주는 공모형 사업입니다.

① 예비창업패키지 (창업진흥원)

  • 대상: 만 39세 이하 청년 또는 누구나 (일반형은 연령 무관)
  • 지원금: 최대 1억 원(사업비 70~90% 지원)
  • 혜택: 사업비 + 창업 교육 + 멘토링 + 네트워크
  • 연 12회 모집 (13월, 7~9월 경)

② 초기창업패키지

  • 대상: 창업 3년 이내 기업
  • 지원금: 최대 1억 원 + 입주공간, 교육, IR 등

③ 청년창업사관학교

  • 운영 주체: 중진공
  • 지원: 창업공간 + 시제품 개발비 + 경영 교육 + 연계 투자
  • 전국 20개 지역 캠퍼스 운영

✅ 3. 세금 혜택

혜택명내용
창업 중소기업 세액감면 제조업, 정보통신업 등 업종은 5년간 소득세 50~100% 감면 (일부 지역은 100%)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 혜택 연 매출 8천만 원 이하일 경우 간이과세 적용, 세금 낮아짐
청년 창업세액공제 만 15~34세 사이 창업 시 일부 감면 혜택
 

✅ 4. 창업 공간 및 장비 지원

기관지원 내용
창업보육센터(BI) 저렴한 사무실 임대료 + 회의실 + 시제품 장비 지원
메이커스페이스 목공·3D프린터 등 장비 지원, 시제품 제작 가능
서울창업허브·부산창업카페 등 지역별 창업지원센터 입주 및 멘토링 제공
 

✅ 5. 창업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내용
K-스타트업 교육 온라인 무료 창업 교육 (예비~성장단계까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교육 상권 분석, 마케팅, 세무회계 등 실무 위주 교육
청년내일채움공제 + 고용지원 직원을 채용할 경우 고용장려금, 청년공제 등 연계 가능
 

✅ 6. 대표적인 정부지원 플랫폼

플랫폼주요 기능
K-스타트업 정부 창업지원사업 통합 안내 및 신청
소상공인마당 소상공인 대상 자금·교육·상담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자금, 공고 확인
창업넷 지역 창업센터 안내 및 입주 정보
 

✍️ 마무리 요약

항목주요 내용
창업 자금 저금리 대출 가능, 신용보증 연계
보조금 예비·초기창업패키지, 최대 1억 원 지원
세금 혜택 최대 5년간 소득세 감면, 간이과세 등
공간/장비 창업보육센터, 메이커스페이스 등 무료 또는 저가 이용
컨설팅/교육 창업실무부터 투자 IR까지 다양한 무료 교육 존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