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바생 초과 근무 20분, 어떻게 계산할까?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1. 7.


알바생이 20분을 추가로 근무했다면,

그에 따른 초과 근무 수당을 정확히 계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아래는 계산 방법입니다:


1. 근로시간 단위 환산

근로시간은 시간 단위로 계산됩니다.
20분은 1시간의 1/3이므로, 시급의 1/3을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2. 초과 근무 수당 적용 여부

(1) 법정근로시간(8시간) 이내 근무:

  • 추가 20분이 법정근로시간인 8시간 이내에 해당하면 기본 시급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예: 시급 10,020원일 경우
    • 추가 근무 수당 = 10,020 × (20 ÷ 60) = 약 3,340원

(2) 법정근로시간(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 추가 20분이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했다면, **연장근로 수당(기본 시급의 1.5배)**을 지급해야 합니다. 예: 시급 10,020원일 경우
    • 추가 근무 수당 = 10,020 × 1.5 × (20 ÷ 60) = 약 5,010원

(3) 야간근로(22시~익일 6시)일 경우:

  • 추가 근무가 야간시간에 해당하면 **야간근로 가산수당(기본 시급의 1.5배)**을 적용해야 합니다. 예: 시급 10,020원일 경우
    • 추가 근무 수당 = 10,020 × 1.5 × (20 ÷ 60) = 약 5,010원

(4) 공휴일 근무일 경우:

  • 공휴일 가산수당(기본 시급의 1.5배)을 더해 계산해야 합니다. 공휴일+연장근로의 경우 중복 적용됩니다.

3. 정확한 계산 예시

  • 시급: 10,020원
  • 추가 근무 시간: 20분

(a) 기본 근무일:

  • 10,020 × (20 ÷ 60) = 3,340원

(b) 연장근로일(8시간 초과):

  • 10,020 × 1.5 × (20 ÷ 60) = 약 5,010원

(c) 공휴일 근무(1.5배):

  • 10,020 × 1.5 × (20 ÷ 60) = 약 5,010원

(d) 공휴일+연장 근무(2배):

  • 10,020 × 2 × (20 ÷ 60) = 약 6,680원

4. 주의 사항

  1. 계산 단위: 최소 1분 단위로 계산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2. 근로계약서 검토: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초과 근무 처리 규정을 확인하세요.
  3. 원천징수 확인: 소득세 및 4대 보험 공제를 반영해 지급해야 합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

 


메뉴잇의 주요기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