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바생 식사 지원, 지급 기준과 방법은?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1. 7.

 

 

 

알바생에게 식대를 제공할지 여부와 방법은 사업장의 정책에 따라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기준을 고려하면 좋습니다.


1. 식대 제공 의무 여부

  • 법적 의무는 없음: 근로기준법 상 알바생에게 식대를 제공할 의무는 없습니다.
  • 다만, 근로계약서에 식대를 지급하거나 식사를 제공하기로 명시한 경우 이를 이행해야 합니다.

2. 식대 제공 방식

(1) 현금으로 지급

  • 매달 급여와 함께 일정 금액을 식대로 추가 지급합니다.
    • 예: 하루 8시간 근무 기준으로 하루 1끼 식비 7,000~10,000원 책정.
    • 장점: 알바생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 주의: 식대는 급여와 별도로 제공 시 비과세 한도 10만 원/월까지 세금 혜택이 있음.

(2) 직접 식사 제공

  • 식사를 사내에서 무료로 제공하거나, 근처 식당과 계약해 제공.
    • 예: 구내식당 운영 또는 특정 식당에서 결제 지원.
    • 장점: 알바생이 추가 지출 없이 바로 이용 가능.
    • 주의: 식사 제공 시도 근로계약서에 명시하면 분쟁 예방 가능.

(3) 식권 제공

  • 하루 근무 시간에 따라 식권을 지급.
    • 예: 하루 4시간 이상 근무 시 1장, 8시간 근무 시 2장.
    • 장점: 사용처를 통제하면서 유연한 운영 가능.

3. 식대 지급 기준

  • 근무 시간에 따라 차등 지급:
    • 4시간 미만: 식대 제공하지 않음.
    • 4~8시간: 한 끼 식사 제공.
    • 8시간 이상: 두 끼 식사 제공.

4. 예산 설정

알바생의 식대를 책정할 때는 해당 지역 평균 식사 비용을 기준으로 설정합니다:

  • 예: 도시 지역 기준 1끼 7,000~10,000원 적정.

5. 근로계약서 명시

식대를 제공하는 경우, 근로계약서에 이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 지급 방식 (현금, 식권, 구내식당 등)
  • 지급 조건 (근무 시간 기준, 근무일수 기준 등)

 


메뉴잇의 주요기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