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소상공인을 위한 새롭게 달라진 지원 정책 총정리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1. 10.

2025년에는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이

.새롭게 도입되거나 확대되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상공인 지원 예산 확대

  • 총 예산 규모: 2025년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5.9조 원으로 책정되었습니다.

2. 배달·택배비 지원 신설

  • 지원 대상: 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의 영세 소상공인 약 67만 9천 명
  • 지원 내용: 1년간 최대 30만 원의 배달 및 택배비 지원
  • 목적: 온라인 소비 증가에 따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 완화

3. 희망리턴패키지 확대

  • 지원 내용: 폐업부터 재창업까지 원스톱 지원
    • 점포 철거비 지원 단가 상향: 3.3㎡당 13만 원 → 20만 원
    • 최대 지원금 확대: 250만 원 → 400만 원
    • 재취업 지원 예산 증액 및 취업수당 신설
  • 목적: 위기 소상공인의 재기 지원 강화

4.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확대

  • 지원 예산: 2024년 524억 원에서 2025년 834억 원으로 약 300억 원 증액
  • 지원 내용: 창업기획자 및 벤처캐피털의 선투자 시, 정부가 최대 3배(최대 2억 원 한도)까지 사업화 자금을 매칭 지원
  • 목적: 소상공인의 스케일업 및 글로벌 진출 지원

5. 브랜드 소상공인 육성 프로그램 신설

  • 프로그램명: TOPS 프로그램(Top platform’s Online Sales Package for Small businesses)
  • 예산: 150억 원
  • 지원 대상: 약 3,000명의 소상공인
  • 지원 내용: 1:1 온·오프라인 컨설팅 제공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 목적: 유망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및 매출 증대

6. 지역상권활력지원 사업 신설

  • 예산: 총 20억 원
  • 운영 방식: 상권 주체(상인, 임대인, 지역기업, 상권기획자)와 지자체가 협력하는 컨소시엄 방식
  • 지원 방식: 국비 50%, 지방비 및 민간 자부담 50% 매칭
  • 목적: 지속 가능한 상권 활성화 모델 구축


이러한 정책들은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중소벤처기업부 및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뉴잇의 주요기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