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세 신고는 했지만 납부하지 못한 경우

by 메뉴잇 2025. 3. 26.

💰 부가세 신고는 했지만 납부하지 못한 경우

(즉, 미납 상태)

✅ 당장 해야 할 일

  1. 홈택스에서 미납 세금 확인
    • 국세청 홈택스 → 로그인
    • ▶ "조회/발급" → "국세납부내역 조회" 또는 "납부할 세액 조회"
  2. 가산세 포함한 현재 금액 확인 후 납부
    • 납부기한이 지났다면 자동으로 **가산세(지연이자)**가 붙어 있어요
    • 지연 일수에 따라 매일 이자가 추가되므로 하루라도 빨리 납부하는 게 좋습니다
  3. 당장 납부가 어려운 경우 → 분할납부 신청 가능

📌 분할납부(납기연장) 신청 방법

조건:

  • 납부세액이 1,000만원 이상이거나
  • 경제적 사유로 일시 납부 곤란

신청 방법:

  1. 홈택스 → [신청/제출] → [세금납부기한 연장 신청]
  2. 또는 세무서 방문/전화로 직접 상담
  3. 1~6개월까지 분할납부 가능, 사정에 따라 연장

📞 직접 전화하셔서 "납기연장 및 분할납부 상담 요청" 하셔도 친절하게 도와줘요!
지역 세무서 번호는 [국세청 콜센터 126 → 1 → 3번] 통해 연결 가능


⚠️ 부가세 가산세 종류

종류내용
납부지연가산세 미납 금액 × 0.022% × 지연일수 (2024년 기준)
신고불성실가산세 신고 자체를 안 했을 경우 추가 발생 (최대 20%)

💡 이미 신고는 했고, 납부만 안 한 거라면 "납부지연가산세"만 부과됨


✅ 실무 팁

  • 가산세는 계속 증가하므로 빨리 납부 또는 분납 신청 필수
  • 금액이 크다면 세무사 통해 분할납부 신청 대행도 고려
  • 향후 납세신용 점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빠른 대응이 좋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