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율 설정은 자영업의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단순히 “얼마 남기자” 수준이 아니라, 원가·고정비·시장가격·경쟁력을 모두 고려해서 전략적으로 정해야 해요.
아래에 마진율을 제대로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릴게요.
📌 마진율이란?
마진율(%) = (판매가 – 원가) ÷ 판매가 × 100
- 예) 원가 3,000원인 음료를 6,000원에 판매하면
👉 마진율은 50%
✅ 마진율 설정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1. 원가(재료비) 파악
- 식재료, 포장재, 부자재 등 정확히 계산
- 유통/물류비 포함 여부도 체크
2. 고정비/변동비 반영
- 임대료, 인건비, 공과금, 카드 수수료 등도 마진에 포함해 계산해야 실제 수익 확인 가능
📌 참고: 음식점 기준 월 고정비 비율이 30~40% 이상이면, 마진율 60% 이상이어야 안정적입니다.
3. 시장가격 및 경쟁점 비교
- 같은 업종의 평균 가격대 확인
- 너무 싸면 손해, 너무 비싸면 고객 이탈
예: 주변 카페 아메리카노 평균가가 4,000원이라면 내 제품의 원가와 품질 수준에 따라 ±10% 내외 조정
4. 목표 수익률 설정
- 월 매출 목표에서 비용을 뺀 목표 순이익을 계산하고, 역산해서 적정 마진 설정
예:
목표 월 수익 500만 원,
월 고정비 300만 원,
예상 매출 1,000만 원
→ 총 800만 원 비용 기준,
마진율 50% 이상 확보 필요
5. 업종별 마진율 참고
업종평균 마진율
커피전문점 | 60~70% |
일반 음식점 | 50~60% |
주류 판매 | 40~60% |
제과/베이커리 | 50~70% |
편의점/도소매 | 15~30% |
온라인 쇼핑몰 | 20~40% (경쟁 심한 경우 10%대도 있음) |
💡 마진율 높이는 실전 팁
- 단가 높은 상품보다 마진 높은 상품 중심 판매 유도
- 세트 구성/업셀링으로 객단가 증가
- 자체 제작 or 직접 유통 상품 확보
- 포장·재료비 절감, 단가 교섭력 높이기
🔚 정리하자면…
- 원가 + 고정비 + 변동비 정확히 산출
- 경쟁력 있는 가격대를 유지하며
- 내 가게의 목표 수익률을 기준으로
- 실제 남는 금액이 확보되는 구조로 가격을 정하세요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창업하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혜택 총정리 (2) | 2025.05.13 |
---|---|
초기창업패키지 완전정복 – 자격, 혜택, 신청 방법까지 (0) | 2025.05.13 |
장사 전 필수! 상권분석 제대로 하는 법 (0) | 2025.05.13 |
애견카페 창업, 얼마면 될까? 비용부터 운영까지 총정리 (3) | 2025.05.13 |
유통업이란? 도매·소매·온라인 창업 완벽 정리 (0) | 2025.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