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휴일로 인해 근무시간이 줄어든 경우, 주휴수당 지급 기준 안내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2. 3.

📢 주휴수당 지급 기준 안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을 받으려면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1. 주 15시간 이상 근무
2. 정해진 근무일을 빠짐없이 출근

 

그런데 이번 주는 국경일(또는 명절)로 인해 휴무가 발생하여

실제 근무 시간이 15시간 미만이 되었습니다.


💡 주 15시간을 충족하지 못하면 법적으로 주휴수당 지급 대상이 되지 않으므로,

이번 주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예시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A씨는 주 3시간 × 5일 = 15시간 근무하는 아르바이트생입니다.
하지만 이번 주는 공휴일(예: 설날, 추석, 광복절 등)로 하루 쉬게 되어 3시간 × 4일 = 12시간만 근무했습니다.
📌 이 경우, 주 15시간 미만이므로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반대로, 공휴일 없이 정상적으로 15시간 이상 근무한 주에는 주휴수당이 정상 지급됩니다.


📢 결론

공휴일로 인해 근무 시간이 줄어 주 15시간이 안 되는 경우,

법적으로 주휴수당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사업주의 선택이 아니라, 근로기준법의 규정에 따른 사항입니다. 😊

 

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주세요! 💬😊

 


메뉴잇의 주요기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