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오더 메뉴잇
2025년 종합소득세 세율표 정리 –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구간별 세율
오더패드 메뉴잇
2025. 4. 24. 11:48
✅ 종합소득세 세율이란?
종합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즉, 소득이 많아질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에 따라 6%부터 최대 45%까지 세율이 차등 적용되며,
해당 구간에 해당하는 금액에만 각 세율이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 2025년 종합소득세 세율표 (개인 기준)
과세표준 (소득금액 기준)세율누진공제
0 ~ 1,200만 원 | 6% | 0원 |
1,200만 원 ~ 4,600만 원 | 15% | 108만 원 |
4,600만 원 ~ 8,800만 원 | 24% | 522만 원 |
8,800만 원 ~ 1억 5천만 원 | 35% | 1,490만 원 |
1억 5천만 원 ~ 3억 원 | 38% | 1,940만 원 |
3억 원 ~ 5억 원 | 40% | 2,540만 원 |
5억 원 ~ 10억 원 | 42% | 3,540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540만 원 |
📌 과세표준이란?
= 총수입금액 – 필요경비 – 각종 소득공제
실제 과세 대상이 되는 금액입니다.
✅ 세율 적용 방식 (누진세 구조 이해 예시)
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5,000만 원이면?
- 1,200만 원까지는 6%
- 1,200만 원 ~ 4,600만 원까지는 15%
- 초과 400만 원에 대해서는 24%
✔️ 하지만 실제 계산은 간편하게 다음처럼 합니다:
matlab
복사편집
5,000만 원 × 24% – 누진공제 522만 원 = 678만 원
✅ 지방소득세도 함께 부과됨
종합소득세 산출세액의 **10%**는 지방소득세로 납부해야 해요.
📌 예: 종소세가 678만 원이면
→ 지방소득세 67.8만 원 추가 → 총 세금 = 약 746만 원
✅ 자영업자 세율 적용 흐름 정리
- 총매출 – 필요경비 = 소득금액
- 소득금액 – 소득공제 = 과세표준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종합소득세
- 종합소득세 × 10% = 지방소득세
- 최종 납부세액 = 종합소득세 + 지방소득세
✅ 종소세 세율표를 꼭 알아야 하는 이유
- 소득 구간에 따라 세금이 크게 달라짐
- 절세 전략 (예: 소득 분산, 지출 증빙 확대 등)에 활용 가능
- 중간예납·예상납부액을 계산할 때 기준이 됨
✅ 요약 정리
항목설명
적용 구조 | 누진세 (소득 구간마다 다른 세율 적용) |
세율 범위 | 6% ~ 45% |
기준 | 과세표준 (수입 – 경비 – 공제) |
지방소득세 | 종소세의 10% 추가 납부 |
세금 줄이려면 | 경비증빙 + 공제항목 최대 활용 필수 |
필요하시면 매출 규모에 따른 예상 세금 계산 예시표,
혹은 업종별 절세 팁도 추가로 만들어드릴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