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키오스크 수수료, 왜 이렇게 차이날까? PG사 vs VAN사 완전 정리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3. 26.

 

 

키오스크를 도입하려는 소상공인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 중 하나가 결제 수수료 구조예요.

특히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VAN사(부가가치통신망)를

사용하는 경우의 수수료 차이를 잘 이해하셔야,

도입 후 예상치 못한 비용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 키오스크 결제 수수료, 왜 업체마다 다를까?

키오스크의 결제 방식에는 보통 두 가지가 있습니다:

결제 방식설명대표 적용 사례
VAN사 방식 일반 카드 단말기와 유사 전통적인 카드 결제 방식
PG사 방식 온라인 결제와 유사한 구조 배달앱, 일부 키오스크 업체

이 결제 방식에 따라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수수료가 크게 달라집니다.


✅ 1. VAN사(부가가치통신망) 방식

📌 개념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 단말기는 대부분 VAN사를 통해 연결됨
  • 카드사 → VAN사 → 매장 계좌로 돈이 입금됨

💰 수수료 구조

  • 카드사 수수료만 부담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름)
  • 연매출에 따라 0.5% ~ 1.5% 수준

✅ 장점

  • 수수료가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어 안정적
  • 온라인 결제 수수료보다 낮음
  • 대부분의 일반 매장에서 사용하는 구조

⚠ 단점

  • 간편결제(삼성페이, 페이코 등) 일부 제한될 수 있음
  • 연동 가능한 키오스크 업체가 제한적일 수 있음

✅ 2.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 방식

📌 개념

  • 원래는 온라인 결제용 시스템
  • 키오스크에서 주문 → PG사가 결제 처리 → 매장 입금

💰 수수료 구조

  • PG사 수수료: 약 2.5%~3.5%
  • 일부 업체는 여기에 자체 수수료 0.5%~1% 추가

📌 즉, 최대 4% 가까이 부담될 수도 있음

✅ 장점

  • 간편결제, 포인트결제, 앱결제 등 기능 다양
  • 배달앱, 모바일 주문과 연동이 쉬움

⚠ 단점

  • 수수료율이 높고 법적 제한이 없음
  • 계약 시 수수료율이 고정되면 변경이 어려움
  • 키오스크 업체마다 PG사 계약이 다름 → 비교 필수

📊 수수료 비교 요약표

항목VAN 방식PG 방식
수수료율 0.5% ~ 1.5% 2.5% ~ 4%
법적 규제 있음 (정부 기준) 없음 (업체 자율 계약)
정산 주기 빠름 (익일~D+2) 업체별 상이
간편결제 지원 일부 제한 대부분 지원
도입 추천 대상 전통 매장, 수수료 민감한 매장 젊은층 대상, 앱·간편결제 중심 매장

🧾 키오스크 도입 전 꼭 체크할 것!

  1. PG사인지, VAN사인지 확인
  2. 수수료율 구체적으로 몇 퍼센트인지 계약서에 명시 요청
  3. 정산 방식/정산 주기도 함께 확인
  4. 3년 약정 여부와 위약금 조건도 필수 체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