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오스크를 도입하려는 소상공인분들이
헷갈려하는 부분 중 하나가 결제 수수료 구조예요.
특히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를 사용하는 경우와 VAN사(부가가치통신망)를
사용하는 경우의 수수료 차이를 잘 이해하셔야,
도입 후 예상치 못한 비용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 키오스크 결제 수수료, 왜 업체마다 다를까?
키오스크의 결제 방식에는 보통 두 가지가 있습니다:
결제 방식설명대표 적용 사례
VAN사 방식 | 일반 카드 단말기와 유사 | 전통적인 카드 결제 방식 |
PG사 방식 | 온라인 결제와 유사한 구조 | 배달앱, 일부 키오스크 업체 |
이 결제 방식에 따라 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수수료가 크게 달라집니다.
✅ 1. VAN사(부가가치통신망) 방식
📌 개념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 단말기는 대부분 VAN사를 통해 연결됨
- 카드사 → VAN사 → 매장 계좌로 돈이 입금됨
💰 수수료 구조
- 카드사 수수료만 부담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름)
- 연매출에 따라 0.5% ~ 1.5% 수준
✅ 장점
- 수수료가 법적으로 규제되어 있어 안정적
- 온라인 결제 수수료보다 낮음
- 대부분의 일반 매장에서 사용하는 구조
⚠ 단점
- 간편결제(삼성페이, 페이코 등) 일부 제한될 수 있음
- 연동 가능한 키오스크 업체가 제한적일 수 있음
✅ 2. PG사(전자지급결제대행사) 방식
📌 개념
- 원래는 온라인 결제용 시스템
- 키오스크에서 주문 → PG사가 결제 처리 → 매장 입금
💰 수수료 구조
- PG사 수수료: 약 2.5%~3.5%
- 일부 업체는 여기에 자체 수수료 0.5%~1% 추가
📌 즉, 최대 4% 가까이 부담될 수도 있음
✅ 장점
- 간편결제, 포인트결제, 앱결제 등 기능 다양
- 배달앱, 모바일 주문과 연동이 쉬움
⚠ 단점
- 수수료율이 높고 법적 제한이 없음
- 계약 시 수수료율이 고정되면 변경이 어려움
- 키오스크 업체마다 PG사 계약이 다름 → 비교 필수
📊 수수료 비교 요약표
항목VAN 방식PG 방식
수수료율 | 0.5% ~ 1.5% | 2.5% ~ 4% |
법적 규제 | 있음 (정부 기준) | 없음 (업체 자율 계약) |
정산 주기 | 빠름 (익일~D+2) | 업체별 상이 |
간편결제 지원 | 일부 제한 | 대부분 지원 |
도입 추천 대상 | 전통 매장, 수수료 민감한 매장 | 젊은층 대상, 앱·간편결제 중심 매장 |
🧾 키오스크 도입 전 꼭 체크할 것!
- ✔ PG사인지, VAN사인지 확인
- ✔ 수수료율 구체적으로 몇 퍼센트인지 계약서에 명시 요청
- ✔ 정산 방식/정산 주기도 함께 확인
- ✔ 3년 약정 여부와 위약금 조건도 필수 체크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민 정산 언제 들어오나요? 영업일 기준 입금일 총정리 (0) | 2025.03.26 |
---|---|
포스기 수수료, 왜 이렇게 차이날까? PG사 vs VAN사 완전 정리 (0) | 2025.03.26 |
테이블오더 설치, 진짜 중요한 건 ‘수수료’였습니다 (0) | 2025.03.26 |
모바일 포스기란? 음식점에서 쓰는 방법과 설치비용 총정리 (1) | 2025.03.26 |
이동형 카드 단말기 설치비용 & 준비 방법 (실사용 기준 안내) (0) | 2025.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