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에서 보일러 및 수도가 고장났을 때, 수리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매장에서 보일러나 수도가 고장났을 때, 수리를 세입자인 자영업자가 해야 하는지,
건물주(임대인)에게 요청해야 하는지는 계약서 내용과 고장의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1️⃣ 기본적인 원칙 (임대차 계약서 확인 필수)
✅ 건물의 기본 설비(보일러, 수도관 등) 문제 → 건물주(임대인) 책임
✅ 세입자가 사용 중 관리 소홀로 발생한 고장 → 세입자(임차인) 책임
✅ 소모품(수도꼭지, 샤워기, 필터 등) 교체 → 보통 세입자(임차인) 부담
📌 2️⃣ 보일러 고장 시 책임 범위
✔ 건물의 노후화로 인한 보일러 고장 → 건물주(임대인) 책임
- 건물 자체의 시설(보일러, 배관 등)이 오래되어 고장이 난 경우
- 보일러 자체가 고장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 난방 배관이 막혀서 전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 세입자가 사용 중 발생한 고장 → 세입자(임차인) 책임
- 난방 온도를 너무 높이거나 과부하를 걸어서 발생한 문제
- 보일러 필터 청소, 배관 동파 방지를 하지 않아 발생한 고장
- 사용 중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 보일러 수리는 고장의 원인이 중요 → 보일러 자체의 노후화는 건물주가, 사용 중 문제는 세입자가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
📌 3️⃣ 수도(배관) 고장 시 책임 범위
✔ 건물 내부 배관 문제 → 건물주(임대인) 책임
- 건물 전체의 수도관이 오래되어 누수 발생
- 지하나 외부 배관에서 물이 새거나 누수되는 경우
- 다른 가게나 윗층에서 물이 새서 피해를 입은 경우
✔ 세입자가 사용 중 발생한 문제 → 세입자(임차인) 책임
- 세면대, 싱크대 배수구 막힘 (음식물, 기름, 머리카락 등으로 인한 문제)
- 수도꼭지, 샤워기, 변기 고장 (단순한 부품 교체는 세입자 부담)
- 동파 방지를 하지 않아 겨울철 배관이 얼어서 터진 경우
💡 배관 누수·수리 비용은 고장의 원인에 따라 다름
- 건물 자체 문제(배관 노후화, 건물 전체 누수) → 건물주가 수리
- 세입자의 관리 소홀(배수구 막힘, 변기 고장 등) → 세입자가 부담
📌 4️⃣ 계약서 확인이 가장 중요!
✅ 임대차 계약서에 보일러·수도 설비 유지보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확인
✅ 특약사항에 "건물의 주요 시설(보일러·수도)은 건물주가 책임진다"는 조항이 있는지 확인
✅ 별도 조항이 없으면 민법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따름
📌 5️⃣ 실제 사례별 대응 방법
✔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음 (난방이 안됨)
➡ 노후화된 보일러 문제라면 건물주에게 수리 요청
➡ 세입자가 과도한 사용(필터 막힘, 과열 등)으로 문제 발생 시 직접 비용 부담
✔ 싱크대 배수가 잘 안됨
➡ 배관 자체 문제라면 건물주가 해결
➡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막혔다면 세입자가 직접 수리
✔ 겨울철 배관이 얼어서 터짐
➡ 건물 자체의 보온 시설 미비로 인해 발생한 경우 건물주 책임
➡ 세입자가 동파 방지(수도 틀어놓기 등)를 하지 않아 발생한 경우 세입자 책임
✔ 윗층에서 누수로 인해 가게 천장에서 물이 떨어짐
➡ 윗층 가게(임차인) 또는 건물주가 원인을 해결해야 함
➡ 누수 원인이 배관 노후화라면 건물주가 해결
📌 6️⃣ 수리 요청하는 방법
🔹 건물주(임대인)에게 요청할 때
1️⃣ 계약서 확인 후 수리 책임이 건물주에게 있는지 확인
2️⃣ 사진·영상으로 고장 상황을 기록
3️⃣ 임대인에게 연락하여 수리 요청 (카톡, 문자 등 기록을 남길 것)
4️⃣ 임대인이 수리 거부 시 내용증명 발송 후 법적 대응 고려
🔹 세입자가 직접 해결해야 할 때
1️⃣ 수리 업체(보일러·배관 전문가) 연락하여 견적 확인
2️⃣ 비용이 클 경우 건물주와 협의 후 절반 부담 요청 가능
3️⃣ 수리 후 보증 기간 확인하여 추가 고장 방지
📌 결론: 수리 책임은 원인과 계약서에 따라 다름
✔ 건물 자체의 문제 (배관 노후화, 보일러 고장 등) → 건물주가 수리
✔ 세입자의 사용 중 발생한 문제 (배수구 막힘, 동파 등) → 세입자가 부담
✔ 임대차 계약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계약서 확인이 필수
✔ 임대인이 책임을 회피할 경우, 사진 증거 확보 후 공식적으로 요청 필요
📌 가장 중요한 건 "계약서" 확인! 임대차 계약서에 책임 범위가
명확히 정해져 있다면 법적으로도 보호받을 수 있으니,
계약할 때 미리 체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메뉴잇의 주요기능
'테이블오더 메뉴잇'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가 부가세 덜 내는 방법 (합법적 절세 전략) (0) | 2025.02.19 |
---|---|
매장에서 바퀴벌레 등 벌레가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2.19 |
식당 가설건축물이란? (1) | 2025.02.19 |
자영업자 전환보증 대출에 대해서 (0) | 2025.02.19 |
카드사 입금 일정, 언제 들어올까?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