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당 보일러·수도 고장! 수리 책임은 건물주 vs 세입자?

by 오더패드 메뉴잇 2025. 2. 19.


매장에서 보일러 및 수도가 고장났을 때, 수리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매장에서 보일러나 수도가 고장났을 때, 수리를 세입자인 자영업자가 해야 하는지,

건물주(임대인)에게 요청해야 하는지는 계약서 내용과 고장의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1️⃣ 기본적인 원칙 (임대차 계약서 확인 필수)

건물의 기본 설비(보일러, 수도관 등) 문제건물주(임대인) 책임
세입자가 사용 중 관리 소홀로 발생한 고장세입자(임차인) 책임
소모품(수도꼭지, 샤워기, 필터 등) 교체보통 세입자(임차인) 부담


📌 2️⃣ 보일러 고장 시 책임 범위

건물의 노후화로 인한 보일러 고장 → 건물주(임대인) 책임

  • 건물 자체의 시설(보일러, 배관 등)이 오래되어 고장이 난 경우
  • 보일러 자체가 고장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 난방 배관이 막혀서 전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세입자가 사용 중 발생한 고장 → 세입자(임차인) 책임

  • 난방 온도를 너무 높이거나 과부하를 걸어서 발생한 문제
  • 보일러 필터 청소, 배관 동파 방지를 하지 않아 발생한 고장
  • 사용 중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

💡 보일러 수리는 고장의 원인이 중요 → 보일러 자체의 노후화는 건물주가, 사용 중 문제는 세입자가 부담하는 것이 일반적


📌 3️⃣ 수도(배관) 고장 시 책임 범위

건물 내부 배관 문제 → 건물주(임대인) 책임

  • 건물 전체의 수도관이 오래되어 누수 발생
  • 지하나 외부 배관에서 물이 새거나 누수되는 경우
  • 다른 가게나 윗층에서 물이 새서 피해를 입은 경우

세입자가 사용 중 발생한 문제 → 세입자(임차인) 책임

  • 세면대, 싱크대 배수구 막힘 (음식물, 기름, 머리카락 등으로 인한 문제)
  • 수도꼭지, 샤워기, 변기 고장 (단순한 부품 교체는 세입자 부담)
  • 동파 방지를 하지 않아 겨울철 배관이 얼어서 터진 경우

💡 배관 누수·수리 비용은 고장의 원인에 따라 다름

  • 건물 자체 문제(배관 노후화, 건물 전체 누수) → 건물주가 수리
  • 세입자의 관리 소홀(배수구 막힘, 변기 고장 등) → 세입자가 부담

📌 4️⃣ 계약서 확인이 가장 중요!

✅ 임대차 계약서에 보일러·수도 설비 유지보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확인
특약사항에 "건물의 주요 시설(보일러·수도)은 건물주가 책임진다"는 조항이 있는지 확인
✅ 별도 조항이 없으면 민법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따름


📌 5️⃣ 실제 사례별 대응 방법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음 (난방이 안됨)
노후화된 보일러 문제라면 건물주에게 수리 요청
세입자가 과도한 사용(필터 막힘, 과열 등)으로 문제 발생 시 직접 비용 부담

싱크대 배수가 잘 안됨
배관 자체 문제라면 건물주가 해결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막혔다면 세입자가 직접 수리

겨울철 배관이 얼어서 터짐
건물 자체의 보온 시설 미비로 인해 발생한 경우 건물주 책임
세입자가 동파 방지(수도 틀어놓기 등)를 하지 않아 발생한 경우 세입자 책임

윗층에서 누수로 인해 가게 천장에서 물이 떨어짐
윗층 가게(임차인) 또는 건물주가 원인을 해결해야 함
누수 원인이 배관 노후화라면 건물주가 해결


📌 6️⃣ 수리 요청하는 방법

🔹 건물주(임대인)에게 요청할 때
1️⃣ 계약서 확인 후 수리 책임이 건물주에게 있는지 확인
2️⃣ 사진·영상으로 고장 상황을 기록
3️⃣ 임대인에게 연락하여 수리 요청 (카톡, 문자 등 기록을 남길 것)
4️⃣ 임대인이 수리 거부 시 내용증명 발송 후 법적 대응 고려

🔹 세입자가 직접 해결해야 할 때
1️⃣ 수리 업체(보일러·배관 전문가) 연락하여 견적 확인
2️⃣ 비용이 클 경우 건물주와 협의 후 절반 부담 요청 가능
3️⃣ 수리 후 보증 기간 확인하여 추가 고장 방지


📌 결론: 수리 책임은 원인과 계약서에 따라 다름

건물 자체의 문제 (배관 노후화, 보일러 고장 등) → 건물주가 수리
세입자의 사용 중 발생한 문제 (배수구 막힘, 동파 등) → 세입자가 부담
임대차 계약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계약서 확인이 필수
임대인이 책임을 회피할 경우, 사진 증거 확보 후 공식적으로 요청 필요

 

📌 가장 중요한 건 "계약서" 확인! 임대차 계약서에 책임 범위가

명확히 정해져 있다면 법적으로도 보호받을 수 있으니,

계약할 때 미리 체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메뉴잇의 주요기능

댓글